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경제

청년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이동, 그 뒤에 숨은 이유와 해결책은?

by 비코노미 2023. 11. 27.
반응형

최근 우리나라 청년(19~34세) 인구가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년 인구는 1천21만 3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4%를 차지했는데요, 이는 1990년의 31.9%에서 크게 하락한 수치입니다. 또한 2050년에는 521만 3천 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이동

청년 인구 감소의 원인과 문제점

원인

청년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은 결혼과 출산의 연기와 미루기입니다. 2020년 청년 세대 중 미혼인 사람은 783만7천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81.5%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30~34세에서 56.3%, 25~29세에서 87.4%가 미혼이었습니다. 이는 2000년에 비해 각각 37.6% 포인트, 33.2% 포인트 증가한 수치입니다. 결혼을 미루는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 자신의 삶을 즐기고 싶은 마음, 결혼에 대한 관심과 의욕의 감소 등이 있습니다.

문제점

청년 인구 감소는 우리 사회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합니다. 첫째, 청년 인구는 국가의 경제성장과 혁신을 이끌어가는 주요 인력입니다.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 국가의 경쟁력과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용과 소비의 축소로 경기침체와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둘째, 청년 인구는 미래의 부양인구입니다.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노인부양비가 증가하면서 사회보장체계에 부담이 커집니다. 셋째, 청년 인구는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주도하는 주요 주체입니다.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 사회의 다양성과 활력이 감소하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청년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이동

수도권 이동의 현상과 배경

수도권 이동

청년 인구 감소와 함께 눈에 띄는 현상은 청년들의 수도권 이동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청년 세대의 53.8%(549만1천명)는 수도권에 거주했습니다. 이는 2005년 51.7%로 올라선 이후 과반을 유지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또한 2020년 비수도권에서 이동한 청년(152만 명) 중 77%(117만 8천 명) 가량이 수도권으로 이동했습니다.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들의 비중은 중부권에서 83.1%, 호남권에서 74.5%, 영남권에서 75.9%로 매우 높았습니다.

이동 배경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들의 주요 배경에는 대학 진학, 취업, 주거 등이 있습니다. 수도권에는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과 공공기관 등이 집중되어 있어, 청년들에게 더 많은 교육과 직업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수도권에는 청년들의 취향과 적성에 맞는 다양한 문화와 여가 활동이 가능합니다. 반면 비수도권은 청년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원과 환경이 부족하고, 지역 간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들은 수도권으로 이동하여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청년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이동

수도권 이동의 문제점과 대안

수도권 이동의 문제점

청년들의 수도권 이동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와 자원의 불균형을 야기합니다. 수도권은 청년들의 유입으로 인구가 과밀하고, 주거와 교통, 환경 등의 문제가 심화됩니다. 또한 수도권의 청년들은 경쟁과 스트레스가 높고, 외로움과 고독이 증가합니다. 비수도권은 청년들의 유출로 인구가 고령화되고, 지역경제가 위축되고, 사회문화가 소멸됩니다. 또한 비수도권의 청년들은 기회와 자신감이 부족하고, 불만과 불안이 증가합니다.

해결 방법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첫째, 비수도권에 청년들이 거주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과 공공기관 등의 분산과 유치를 통해 비수도권의 교육과 직업의 기회를 늘려야 합니다.

 

또한 비수도권의 문화와 여가 활동을 다양화하고 활성화하여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야 합니다. 둘째,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삶의 질을 개선해야 합니다. 주거와 교통, 환경 등의 인프라를 개선하고,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또한 청년들의 외로움과 고독을 해소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지원해야 합니다.

청년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이동

청년인구 감소가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가의 경제성장과 혁신을 이끌어가는 주요 인력이 줄어든다는 의미

국가의 경쟁력과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용과 소비의 축소로 경기침체와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청년인구 감소는 미래의 부양인구가 줄어든다는 의미

청년 인구 감소가 되면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노인부양비가 증가하면서 사회보장체계에 부담이 커집니다.

사회의 다양성과 활력이 감소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주도하는 주요 주체가 줄어들고,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청년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이동

마치며

우리나라 청년 인구 감소와 수도권 이동은 우리 사회에 큰 변화와 도전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청년들은 더 나은 삶을 추구하고, 자신의 꿈과 적성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현재의 사회환경과 제도는 청년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지원을 제공하고, 청년들의 목소리와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해야 합니다. 청년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이자 희망입니다. 청년들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