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경제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 우리집 보일러는?

by 비코노미 2023. 12. 9.
반응형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방비는 매년 겨울마다 부담스러운 지출 중 하나인데요, 우리 집 보일러를 똑똑하게 사용하면 난방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의 차이점과 각각의 보일러 사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경제적인 겨울을 보내고 싶으신 분들은 꼭 읽어보세요!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의 차이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일러 방식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집마다 보일러가 있는 도시가스 개별난방이고, 다른 하나는 각 지역의 발전소에서 쓰고 남은 열로 난방하는 지역난방입니다. 두 방식 모두 따뜻한 물이 바닥을 돌아 방을 데워주는 온돌 방식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난방비의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보일러 사용법도 달라집니다.

개별난방

개별난방은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 방식입니다. 집마다 보일러가 있기 때문에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온도로 난방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시가스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난방비가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개별난방의 보일러 컨트롤러 기능은 크게 실내 온도, 온돌, 외출로 나뉩니다. 각각의 기능과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내 온도 모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온도보다 실내 온도가 낮을 시 보일러가 자동으로 켜지고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보일러가 꺼지는 기능입니다.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보일러 센서가 바닥이 아닌 보일러 컨트롤러 하단부에 있어 주변 온도에 민감한 편입니다. 실내 온도가 잘 바뀌지 않거나 단열이 잘되는 집이라면 실온 모드가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몇 시간 정도만 보일러를 켜 두면 따스함이 유지되는 집일 경우에 추천합니다.

온돌 모드

바닥의 난방수 온도를 달궈 따뜻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실온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난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내의 온도보다 달궈진 난방수의 온도가 떨어지기 쉽습니다. 실내 온도가 들쭉날쭉하거나 야간에도 특정 온도를 꼭 유지해야 하는 집에 적합합니다. 온돌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최고 설정 온도는 80~85도로 최대 온도 대비 15도 정도 낮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출 모드

보일러 제조사마다 기능이 상이해 자신의 집 보일러 제조사를 확인한 후 알맞은 사용법 확인이 필요합니다. 4시간마다 한 번 최소한의 시간 동안만 보일러를 가동해 실내를 보온하는 보일러가 있습니다. 실내 온도를 8도 안팎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춘 보일러도 있습니다. 외출 모드로 전환하면 보일러가 가동을 멈추고 실내 온도가 8도 이하로 떨어지면 보일러가 자동으로 가동됩니다. 대부분의 외출모드는 최소한의 난방만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실내 온도가 낮을 때 온도를 높이려고 보일러를 가동하다 보면 오히려 가스가 많이 소모돼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장기간 외출이 아닌 5~7시간 정도의 외출이라면 보일러를 2~3도 정도 낮게, 최소 17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게 필요합니다.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

지역난방

지역난방은 열생산 시설에서 만들어진 중온수를 기계실로 옮겨와 일괄적으로 집집마다 공급해 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소, 쓰레기 소각장 등의 열생산 시설에서 만들어진 120도 이상의 중온수가 쓰입니다. 중온수는 도로, 하천 등에 묻힌 이중보온관을 통해 아파트나 빌딩 등의 기계실로 공급됩니다. 이후 각 집에 일괄적으로 온수와 급탕이 공급됩니다. 지역난방은 도시가스보다 난방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난방수의 공급 시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시간에 난방을 할 수 없습니다. 지역난방의 난방 계량기는 크게 유량계와 열량계로 나뉩니다. 각각의 계량기와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량계

난방수의 총량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측정 단위가 ㎥, ton입니다. 유량계 방식의 지역난방이라면 난방을 틀어놓은 내내 난방수가 유입됩니다. 총량이 높으면 난방비도 자연스럽게 오릅니다. 타이머 기능을 통해 난방수 유입 시간을 설정해 두면 총 사용 수량이 줄어 난방비를 아낄 수 있습니다.

열량계

물이 얼마나 사용됐는지, 또 몇 도로 사용됐는지 함께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h, M㎈ 단위를 쓰는 계량기라면 열량계일 확률이 높습니다. 열량계 방식의 지역난방은 들어오는 난방수와 나가는 난방수의 온도차를 함께 측정해 그 차이로 요금을 부과합니다. 예를 들어 난방수가 들어올 때 50도, 나갈 때 30도라면 그 20도의 온도차만큼 계산되는 것입니다.

 

전원을 항상 켜두고 외출 시에도 실내 온도를 18도 정도의 낮은 온도에 맞춰두면 난방비 절약에 효율적입니다. 왜냐하면 난방수의 온도차가 작아지면 요금도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열량계 방식의 지역난방은 난방수의 온도차가 중요한 요인이므로, 실내 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

난방비 절약 팁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의 차이점과 각각의 보일러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팁을 몇 가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겨울철 난방비는 단순히 보일러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집의 단열 상태, 난방 방식, 실내 온도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난방비를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

창문과 문의 틈을 막아주기

창문과 문의 틈은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새어나가고, 바깥의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는 주요 경로입니다. 따라서 창문과 문의 틈을 테이프나 실리콘 등으로 막아주면 실내 온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꺼운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쳐주면 창문으로부터의 열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난방기구를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점검하기

난방기구는 오랜 시간 사용하다 보면 먼지가 쌓이거나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난방 효율이 떨어지고, 난방비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난방기구를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점검해주면 난방 성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보일러의 필터는 먼지가 많이 쌓이기 때문에 자주 교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실내 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하면 난방비가 많이 나오고, 건강에도 좋지 않습니다. 보통 실내 온도는 18~20도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실내 온도를 1도 낮추면 난방비를 5~10%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옷을 따뜻하게 입거나 전기장판 등을 이용하면 난방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주택가 가스계량기

이상으로 겨울철 난방비 절약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집 보일러를 똑똑하게 사용하고, 난방비 절약 팁을 적용하면 경제적인 겨울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난방비는 우리의 소비습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난방비를 줄이는 것은 우리의 지갑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도움이 됩니다. 여러분도 난방비 절약에 동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