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경제

주식 옵션의 뜻과 기본 개념 알아보기

by 비코노미 2023. 12. 4.
반응형

주식 옵션의 뜻과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옵션은 주식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옵션 거래를 실제로 하지 않으시는 분들에게는 다소 어렵거나 낯설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옵션의 종류와 뜻, 그리고 옵션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주식 옵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식 옵션의 뜻과 기본 개념

주식 옵션의 종류와 뜻

주식 옵션은 영어로 stock option이라고 하며, 주식 선택권이라고도 합니다. 주식 옵션은 특정 주식 또는 금융 상품을 미리 정해진 가격과 기간에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계약입니다. 주식 옵션은 콜옵션과 풋옵션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콜옵션(call option)

콜옵션 매수자는 옵션 만기일 이전에 언제라도 기초자산이 되는 주식 또는 금융 상품을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됩니다. 이 특정 가격을 행사가격(strike price)이라고 합니다. 콜옵션 매수자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옵션을 행사하면 행사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할 수 있습니다. 콜옵션 매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손실은 옵션 매수 당시 지불한 프리미엄(premium)의 액수와 동일합니다. 프리미엄은 옵션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콜옵션 매수자의 최대 이익은 무한대입니다. 기초자산의 가격이 무한대로 상승하면, 행사가격과의 차액에서 프리미엄을 뺀 만큼의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풋옵션(put option)

풋옵션 매수자는 만기일 이전에 언제라도 기초자산이 되는 주식을 행사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됩니다. 풋옵션 매수자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옵션을 행사하면 행사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습니다. 풋옵션 매수자의 최대 손실도 옵션 매수를 위해 지불한 프리미엄과 동일합니다. 풋옵션 매수자의 최대 이익은 행사가격에서 프리미엄을 뺀 만큼입니다. 기초자산의 가격이 0에 수렴하면, 행사가격과의 차액에서 프리미엄을 뺀 만큼의 이익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옵션의 종류와 뜻을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제 옵션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식 옵션의 뜻과 기본 개념

옵션의 시간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옵션의 가격은 내재가치(intrinsic value)와 시간가치(time value)로 구성됩니다. 내재가치는 옵션을 행사했을 때 발생하는 이익을 의미합니다. 콜옵션의 경우, 기초자산의 시장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높으면 내재가치가 발생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내재가치가 0입니다. 풋옵션의 경우, 기초자산의 시장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낮으면 내재가치가 발생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내재가치가 0입니다. 시간가치는 옵션의 만기까지 남은 기간 동안 기초자산의 가격이 변동할 가능성을 반영한 가치입니다. 시간가치는 만기일이 다가오면서 감소하고, 만기일에는 0이 됩니다.

주식 옵션의 뜻과 기본 개념

옵션의 시간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인

1. 행사가격과 시장가격의 관계

행사가격과 시장가격의 차이가 클수록 옵션의 시간가치는 작아집니다. 행사가격이 시장가격보다 매우 높은 콜옵션이나 매우 낮은 풋옵션은 깊은 외가격(deep out-of-the-money) 옵션이라고 하며, 시간가치가 거의 없습니다. 시장가격이 만기 전까지 행사가격에 도달하거나 넘어설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행사가격이 시장가격보다 매우 낮은 콜옵션이나 매우 높은 풋옵션은 깊은 내 가격(deep in-the-money) 옵션이라고 하며, 시간가치가 거의 없습니다. 기초자산을 보유하는 것과 효과가 거의 같기 때문입니다. 행사가격과 시장가격이 비슷한 옵션은 가치가격(at-the-money) 옵션이라고 하며, 시간가치가 가장 큽니다. 시장가격이 만기 전에 행사가격을 넘어서거나 밑돌아 내재가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2. 만기까지 남은 시간

만기가 멀수록 옵션의 가치는 더 큽니다. 유효기간이 길수록 만기 전에 특정 수준만큼 내재가치가 상승할 가능성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옵션의 가치는 감소하고, 만기일에는 내재가치만 남게 됩니다.

3. 변동성

옵션의 시간가치는 만기까지 남은 기간 동안 기초자산 시장의 예상 변동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변동성이 클수록 만기 전에 특정 수준만큼 내재가치가 상승할 가능성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변동성이 작을수록 옵션의 가치는 감소하고, 변동성이 0이라면 옵션의 가치는 내재가치와 동일해집니다.

 

옵션의 시간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옵션의 가격은 이 외에도 다른 요인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자산의 배당, 이자율, 세금 등이 옵션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옵션의 가격을 계산하는 복잡한 공식에 반영됩니다. 옵션의 가격을 계산하는 대표적인 공식은 블랙-숄즈 모형(Black-Scholes model)이라고 합니다. 블랙-숄즈 모형은 1973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피셔 블랙(Fischer Black)과 마이런 숄즈(Myron Scholes)가 공동으로 개발한 옵션 가격 결정 모형입니다. 블랙-숄즈 모형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블랙-숄즈 모형 수식

여기서 C는 콜옵션의 가격, P는 풋옵션의 가격, S는 기초자산의 시장가격, K는 행사가격, r은 무위험 이자율, T는 만기까지 남은 시간, N은 표준 정규분포의 누적분포함수, d1과 d2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d1d2

 

여기서 σ는 기초자산의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블랙-숄즈 모형은 옵션의 가격을 수학적으로 유도한 최초의 모형이며,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블랙-숄즈 모형에는 몇 가지 한계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랙-숄즈 모형은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변동성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특히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블랙-숄즈 모형은 옵션을 행사하기 전에 매도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일부 옵션은 만기일에만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블랙-숄즈 모형을 개선하거나 다른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주식 옵션의 뜻과 기본 개념

주식 옵션의 뜻과 기본 개념, 그리고 옵션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옵션은 주식 투자의 한 방법이지만, 많은 위험과 복잡함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옵션 거래를 하시려면 옵션의 원리와 특성을 잘 이해하고, 옵션의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분석 능력과 자신감이 필요합니다. 옵션 거래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 글을 참고로 하시고, 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