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농심의 신제품인 먹태깡 라면과 감자칩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먹태깡은 작년에 출시된 스낵 제품으로, 북어와 마요네즈, 청양고추의 맛이 특징인 제품입니다. 이 먹태깡의 맛을 라면과 감자칩에 접목한 것이 바로 농심의 새로운 시도입니다. 농심은 기존의 히트 상품을 다른 카테고리로 확장하고, 소비자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전략을 적용했습니다. 이런 전략은 농심뿐만 아니라 다른 식품업계에서도 많이 보이는 추세입니다. 그 이유와 효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먹태깡 라면, 감자칩은 어떤 맛일까?
먼저 먹태깡 라면과 감자칩의 맛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먹태깡 라면은 용기면으로, 먹태깡의 주원료인 북어, 마요네즈, 청양고추를 활용한 비빔면입니다. 양배추와 청양고추맛 건더기, 먹태 분말로 감칠맛을 더했습니다. 먹태깡 감자칩은 포테토칩의 바삭한 식감에 먹태청양마요의 알싸한 맛을 더한 제품입니다. 먹태깡이 개척한 '어른용 안주 스낵'의 명맥을 이어가겠다고 합니다. 먹태깡 라면은 오는 22일부터, 먹태깡 감자칩은 이날부터 일반 소매점에서 판매됩니다.
이 두 제품은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이미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작년 6월에 출시된 먹태깡은 새우깡 등 농심 '깡' 시리즈의 6번째 제품으로, 지금까지 누적 판매량이 1300만 봉을 돌파했습니다. 당근마켓에서도 웃돈이 붙어 거래되고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습니다. 이런 먹태깡을 라면과 감자칩으로 만든다는 소식에 대중의 호기심이 커졌습니다. 먹태깡의 맛이 라면과 감자칩에도 잘 어울릴지, 어떤 차별화된 맛을 선사할지 기대가 됩니다.
농심의 히트 상품 리뉴얼 전략
먹태깡 라면과 감자칩의 출시는 농심의 히트 상품 리뉴얼 전략의 일환입니다. 농심은 기존의 장수 브랜드나 히트 상품과의 연계 상품을 선보여 소비자 관심을 집중시키고자 합니다. 농심이 지난해 먹태깡과 함께 선보인 '신라면 더 레드'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스코빌지수가 7500으로 기존 신라면의 2배가 넘는 매운맛을 자랑하는 제품입니다. 농심은 이후에도 기존 안성탕면 제품을 리뉴얼한 '순하군 안성탕면'도 내놨습니다.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아 스코빌지수가 0인 제품입니다.
농심의 이런 전략은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습니다. 기존 제품에 새로운 트렌드를 입혀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히트 상품 리뉴얼의 이유와 효과
식품업계의 리뉴얼 바람은 경기 불황과 연관이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불황에 신제품보다는 기존의 익숙하고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머니가 얇아지면서 낯선 것은 잘 선택하지 않습니다. 기업 역시 신제품 출시는 마케팅과 제품 개발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듭니다. 흥행 실패에 따르는 리스크도 큽니다. 반면 리뉴얼은 다릅니다. 기존 히트 제품의 인지도를 이용해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움직임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업계가 기존 히트 상품에만 의존하려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는 우려입니다. 쉽게 말해 '모험'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주요 신제품 발굴이 후 순위로 밀립니다. 대신 반짝인기를 얻기 위한 연관 상품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오히려 소비자에게 피로감만 줄 수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원부자재 가격 인상 등 업계가 힘든 시기에 직면하면서 기존 제품의 인지도를 활용하려는 리뉴얼 마케팅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고령화하는 인구 구조도 원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이런 전략은 소비자에게 익숙하면서 신선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지만 계속되다 보면 오히려 식상함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상으로 먹태깡 라면과 감자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농심의 히트 상품 리뉴얼 전략은 소비자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창의적인 시도입니다. 하지만 이런 전략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면 소비자들의 흥미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업계는 히트 상품의 인지도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제품과 시장을 개척하는 것도 놓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비즈니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전기요금 지원신청 방법과 조건, 지원금액은? 2024년 최신 정보 (0) | 2024.02.19 |
---|---|
세계 경제 변화와 그에 따른 투자 전략 (0) | 2024.02.17 |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가 한국의 배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24.01.14 |
실업급여 하한액이 또 오른다? 최저임금과의 관계와 문제점은? (0) | 2024.01.11 |
연두색 번호판 제도와 법인차량 구매와 세금 혜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