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500명의 순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10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이번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부동의 1위를 차지했으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331위에 올랐습니다. 또 다른 한국인으로는 메리츠금융지주 조정호 회장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글로벌 부호들의 순위와 자산 변동 현황, 그리고 국내 주요 인물들의 활약을 살펴보겠습니다.
세계 500대 부자, 총 자산 10조 달러 돌파
지난해 12월 31일 블룸버그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500대 부자의 순자산은 10조 1000억 달러(약 1경 4900조 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독일, 일본, 호주의 국내총생산(GDP)을 합친 규모와 맞먹는 수치로, 사상 처음으로 10조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미국 기술 분야의 억만장자들은 지난해 엄청난 자산 증가를 기록했는데요. 기술 상위 8명의 부자는 무려 6000억 달러(약 884조 원)를 벌어들여 전체 자산 증가분의 43%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인공지능(AI) 산업의 성장과 기술주 강세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일론 머스크, 1위 유지하며 자산 두 배 증가
테슬라와 스페이스X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는 2024년 한 해 동안 자산을 2배로 불리며 4421억 달러(약 650조 6827억 원)의 순자산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위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를 압도적으로 따돌린 수치입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주식 시장 강세에 힘입어 자산을 급격히 늘릴 수 있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AI 열풍의 최대 수혜자로, 지난해 자산이 760억 달러(약 111조 8600억 원) 증가해 12위에 올랐습니다.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주가가 세 배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한국 부호 현황 – 이재용 331위, 조정호 408위
한국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4억 6000만 달러(약 12조 3600억 원)로 331위에 올랐습니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점유율 확대와 AI 기술 투자 덕분에 안정적인 자산 증가를 보였습니다.
또 다른 한국 부자로는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이 71억 6000만 달러(약 10조 5400억 원)로 408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메리츠금융지주의 공격적인 자산 운용과 부동산 및 금융시장 호조가 자산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꼽힙니다.
프랑스 명품 업계 부호들, 자산 감소
반면, 프랑스 명품 업계의 억만장자들은 지난해 자산 손실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베르나르 아르노 LVMH 회장과 프랑수아즈 베탕쿠르 마이어스 로레알 상속자 등은 주요 시장의 매출 둔화로 인해 710억 달러(약 104조 5000억 원)의 자산이 감소했습니다.
특히 프랑스 명품 시장의 침체는 중국의 소비 둔화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AI와 기술주 강세, 부자 순위 지각변동
최근 AI와 기술주의 강세로 인해 부자 순위에서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마크 주커버그 메타 CEO는 3위에 올라 순자산이 810억 달러(약 119조 2200억 원) 증가했습니다. 메타는 지난해 주가가 70% 상승하며 유럽연합(EU)의 반독점법 과징금이라는 악재를 극복했습니다.
중국에서는 마화텅 텐센트 CEO와 레이쥔 샤오미 CEO, 천톈스 캠브리콘 CEO 등의 자산이 14% 증가하며 3년 연속 감소세를 마감하고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결론: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부자들, 그리고 한국의 활약
2024년은 기술 혁신과 AI의 부상이 세계 억만장자들의 자산을 급격히 변화시킨 해였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독보적인 1위를 유지하며 자산 격차를 더욱 벌렸고, 한국에서도 이재용과 조정호 회장이 꾸준히 상위권에 진입했습니다.
앞으로 AI와 기술주가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면, 젠슨 황과 같은 기술 분야의 부호들이 더욱 순위에서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에서도 반도체, 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새로운 부자들이 등장할지 기대해 봅니다.
'비즈니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달비,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될까? 외식 물가 변화의 새로운 기준 (0) | 2025.01.12 |
---|---|
바나나맛 우유 아성 무너졌다! 외국인 관광객 사로잡은 K-편의점 히든 카드, 두바이 초콜릿 (0) | 2025.01.10 |
건설업 청년층 기피 심화 5060이 절반 청년층은 '외면' (0) | 2024.12.31 |
자영업자의 눈물 금융위기보다 어려운 현실, 2023년 폐업자 수 역대 최대 (0) | 2024.12.27 |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패키징 공급망 재편 소부장 재검토 움직임 (0) | 2024.12.25 |